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중국을 떠나는 글로벌 기업들
    카테고리 없음 2021. 12. 18. 19:46

    미중 무역전쟁의 여파로

    중국을 떠나는 글로벌 기업들이

    늘고 있습니다.

    물론 글로벌 기업들은

    이미 중국의 인건비 상승 때문에

    생산기지 이전을 모색해 왔지만,

    미국의 징벌적 관세가

    이같은 추세를 가속화시키고 있는데요.

    오늘은 글로벌 기업들의

    탈중국 동향을 살펴보면서

    우리 기업들은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고민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은 2019년 5월 10일부터

    20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기존 10%에서 25%로 상향 조정해,

    현재 총 25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중국에 생산기지를 두고 있는

    글로벌 기업들은

    관세에 대한 추가 비용을

    스스로 감수하든지,

    그 부담을 소비자에게 전가해

    가격을 올려야 하는

    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인데요.

    미중 무역전쟁 초기에는

    많은 기업들이

    수개월 안에 분쟁이 끝날 것이라고

    예상하기도 했지만,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추가로 관세 폭탄을 맞게 될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사진출처 서울경제

     

    최근 글로벌 컨설팅기업

    베인앤컴퍼니가

    올해 초 200개 미국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한 기업의 60%가

    1년 안에 공급망을 재편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2019년 6월 11일 블룸버그 통신은

    구글이 네스트의 중국 생산기지 일부를

    대만과 말레이시아로

    이전하고 있다고 보도했는데요.

    네스트는 스마트 온도조절기,

    주택 보안 시스템 등

    스마트홈 제품을 만드는,

    구글 하드웨어 사업 부문 중 하나입니다.

     

    애플의 파트너인 폭스콘을 포함해,

    세계 각국 전자 기업들의

    위탁 제조를 맡고 있는 대만 업체들은

    2018년 이후 고객사의 요청에 따라

    생산기지 이전을 가속화해왔는데요.

    세계 최대 제조업체인 삼성도

    2018년 말

    톈진 스마트폰 생산 공장을

    폐쇄하는 등,

    중국 생산 물량을 줄이는 대신

    베트남과 인도 생산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일본 닌텐도 또한

    미국의 징벌적 관세를 피하기 위해

    스위치 비디오게임 콘솔 생산 일부를

    중국에서 동남아로

    이전하고 있는데요.

    중국 현지의 인건비 상승이라는

    기존 요인과 더불어

    미중마찰 장기화 우려가 겹치면서

    글로벌 기업들이 생산과 공급망 재편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미국의 대중 관세는

    글로벌 기업들이 중국을 떠나게 되는

    ‘트리거’ 역할을 했을 뿐,

    근본적인 원인은

    중국의 사업환경 악화에 있다는 점입니다.

    중국 정부는 한국을 포함한

    외국계 기업을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시키는 경우가 있는데요.

    가장 대표적인 예가

    전기차 배터리입니다.

    중국정부는 CATL이나 BYD 등

    자국 기업이 만든 배터리가

    탑재된 전기차 구매 시에는

    소비자에게 보조금을 지급하지만,

    외국기업이 만든 전기차 배터리에는

    보조금을 적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전기 배터리를 탑재한 신에너지차는

    비교적 가격이 높기 때문에,

    정부 보조금을 받지 못하면

    가격 경쟁력과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려운데요.

    중국 정부의 이러한

    외국 기업에 대한 배타적인 정책에,

    인도와 베트남에 비해

    높아지고 있는 인건비와

    미국의 고관세 정책으로 인한

    수출품의 수익성 악화를 고려한다면,

    글로벌 기업 입장에서

    중국을 떠나는 것은

    불가피한 선택으로 보이기까지 합니다.

     

    글로벌 기업들의

    탈중국 러시가 본격화되자,

    중국 정부는 규제완화 정책을

    내놓고 있습니다.

    2019년 6월 30일,

    중국 정부는 수입 제한을 가하는

    네거티브 리스트를

    기존 48개에서 40개 품목으로

    대폭 축소했는데요.

     

    또 리커창 총리는

    7월 2일 다롄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에서

    “증권, 선물, 생명보험 등

    금융사의 외국인 소유 지분 제한을

    2020년부터 완전 철폐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중국은 2018년부터

    외국인의 금융사 지분을

    51%까지 상향 가능하도록 한 데 이어,

    2021년부터는 완전 소유를

    허용할 계획이었습니다.

    하지만 외국 자본의 이탈이

    중국 내 고용과 투자에 미칠

    악영향을 우려해

    기존 계획을 1년이나 앞당기면서

    무역전쟁 여파의 수습에 나선 것이죠.

    또한 리커창 총리는

    외국인 투자자에 대한

    운송·통신 분야의 제약도

    줄어들 것이라고 언급했는데요.

    중국 정부의 이같은 규제완화가

    인건비 상승과 관세 폭탄이라는

    ‘실(失)’을 메워줄

    ‘득(得)’으로 작용해,

    외국 자본의 이탈을 붙잡을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할 것입니다.

     

    중국에 생산거점을 두고

    미국으로 수출하는 국내 기업의 경우,

    생산기지 이전에 대한

    고민이 되실 텐데요.

    필립스의 경우,

    미중 무역마찰에 영향을 받는

    일부 제품의 생산거점은

    이전하기로 결정했으나

    중국 내 헬스케어 시장의

    잠재력은 높게 평가하면서,

    중국에서 두 자릿수 이상의

    매출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진단기기에 대해서는

    중국 현지 생산거점을

    확보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처럼,

    미국향 수출품목 생산을

    해외로 이관하고

    중국 내수시장을 위한 제품은

    중국내 생산을 유지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생산 및 조달의 이중체제는

    비용증가와 경영효율 저하를

    불러올 수 있기 때문에

    이 또한 신중하게 검토해야 합니다.

     

    한국은 대중 수출 의존도가 높고

    그 중에서도

    조립가공 중간재 수출 비중이 높아

    글로벌 기업의 탈중국화에 대한 영향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 기업들은

    투자 지역 다변화를 모색하는 동시에,

    중국이 시장으로서의 가치가

    여전히 중요한 만큼

    중장기적으로는

    중국 내수 소비시장을 개척하는 등

    대중 전략의 변화를

    모색해야 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Designed by Tistory.